사건분류 기타
대검 부장회의 결정으로 무혐의 처분
검찰이 한명숙 전 총리 뇌물 수수 혐의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한 전 총리의 유죄 판결을 이끌어내기 위해 재소자 신분이었던 핵심 증인들의 법정 증언을 조작했다는 의혹에 제기되자 검찰이 감찰에 착수했지만 무혐의 처분한 사건.
담당부서 지휘라인 :
<대검찰청 감찰본부>
본부장 한동수 - 감찰3과장 [허정수], 조사 참여 검사 [임은정] 대검찰청 검찰연구관
<대검찰청 인권부>
검찰총장 [윤석열] - 인권부장 [이수권]
<서울중앙지방검찰청 인권감독관>
검사장 [이성윤] - 차장 [이정현] - 인권감독관 [이용일]
날짜 | 수사경과 |
---|---|
2022-02-09 | 공수처, 윤석열 전 검찰총장 및 조남관 전 대검 차장검사에 대해 증거 불충분에 의한 혐의 없음으로 불기소 처분 |
2021-11-16 | 공수처 수사3부(최석규 부장검사),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게 서면 진술 요청 |
2021-09-08 | 공수처, '모해위증교사 수사 방해 의혹' 고발 사건에 대해 임은정 법무부 감찰담당관 참고인 조사 |
2021-06-10 | 공수처, 윤석열 전 검찰총장 등을 대상으로 한 '모해위증교사 수사 방해 의혹' 고발 사건 수사 착수 |
2021-03-22 | 한명숙 사건 관련 모해위증교사 공소시효 만료. 박범계 법무부장관, 무혐의 처분의 절차적 문제 지적 및 검찰의 인권침해적 수사 방식, 재소자를 불러 정보원 등으로 활용한 정황 등에 대해 법무부와 대검 합동감찰 지시 |
2021-03-19 | 대검, 고검장들 참석한 대검 부장회의 개최, 사건 무혐의 처분 결론 유지 위증교사 의혹 당사자로 알려진 엄희준 부장검사와 임관혁 연구관도 참석 |
2021-03-18 | 조남관 대검 차장(검찰총장 직무 대행), 대검 부장검사들만으로는 공정성을 담보할 수 없다며 일선 고검장들도 회의에 참여시키겠다고 역제의. 박범계 장관도 수용했다고 알려짐 |
2021-03-17 | 박범계 법무부장관, 수사지휘권 발동 - 대검 부장회의를 개최해서 모해위증사건 혐의 유무와 기소가능성을 재심의하고, 그 과정에서 임은정 검사의 의견 청취하라고 지시 |
2021-03-07 | 박범계 법무부장관, 사건 전체 진행경과와 타당성 검토 지시 |
2021-03-05 | 대검 감찰부, 수사로 전환할 증거가 부족하다며 사건 무혐의 처분 |
2021-03-04 | 사법정의바로세우기시민행동, 공수처에 '모해위증교사 수사 방해 의혹' 사건에 대해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과 조남관 전 대검 차장검사를 직권남요 등의 혐의로 고발 |
2021-03-02 | 법무부, "검찰청법에 근거한 대통령의 인사 발령으로 임 부장검사에게 수사권이 부여됐으며, 수사권 부여에 관한 검찰총장의 별도 지시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"라고 회신 대검, 한전총리 모해위증 사건 담당 주임검사로 허정수 감찰3과장지정. 임은정, 자신이 직무에서 배제당했다고 반발 |
2021-03-01 | 대검이 법무부에 임은정 연구관 수사권 관련 법적 근거 묻는 공문을 발송한 것으로 알려짐. 겸임 인사 발령이 곧 수사권 부여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대검의 취지 |
2021-02-26 |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과 임은정 대검 감찰정책연구관이 기소 의견 보고서를 법무부에 보낸 것으로 알려짐 |
2021-02-22 | 법무부, 임은정 연구관에게 서울중앙지검 검사 겸직 발령, 수사권 부여 취지 |
2020-09-10 | 법무부, 임은정 검사를 대검찰청 감찰정책연구관으로 발령. 한동수 감찰부장, 임은정 검사에게 사건 조사 지시 |
2020-07-21 |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, 최 모 진정건 사실상 혐의 없음으로 내부결론 |
2020-06-22 | 한만호의 다른 동료수감자 한 모, 한명숙 사건 수사팀과 당시 검찰 지휘부에 대한 감찰 요청 및 수사 의뢰서를 대검에 제출. 검찰, 대검 감찰부에 사건 배당 |
2020-06-21 | 윤석열 총장, 대검 감찰부와 서울중앙지검이 사건 각각 조사 및 대검 인권부장이 종합해 보고하도록 지시 |
2020-06-19 | 추미애 법무부장관, 수사지휘권 발동 - 대검 감찰부가 사건 주요 참고인들을 직접 조사하라고 지시 |
2020-06-01 | 윤석열 검찰총장, 한동수 대검 감찰본부장이 보고한 최 모 진정서 조사 사건을 사본으로 접수하는 방식으로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게 재배당 |
2020-05-29 | 한만호의 동료수감자였던 최 모, 뉴스타파의 보도 한달여전 쯤 검찰 위증교사 관련 진정서 법무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짐. 법무부, 대검 감찰부에 이첩 |
2020-05-11 | 뉴스타파, 한만호 비망록 내용 보도. 검사의 모해위증교사 의혹 촉발 |
2017-05-17 | 한만호 위증죄 3심(대법원 제3부 주심 박병대 대법관, 2017도1057), 한만호 위증 혐의 징역 2년 확정 |
2016-12-23 | 한만호 위증죄 2심(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8부 김성대 부장판사, 2016노1938), 징역 2년 선고 |
2016-05-19 | 한만호 위증죄 1심(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9단독 강성훈 판사, 2011고단3668), 위증죄 징역3년 선고(법정구속) |
2015-08-20 | 한명숙 3심(대법원 2013도11650 전원합의체 판결. 재판장 양승태 대법원장, 주심 이상훈 대법관. 대법관 8(상고기각) 대 5(파기환송)), 원심확정 |
2013-09-16 | 한명숙 2심(서울고법 2011노3260 제6형사부(나) 재판장 정형식), 징역 2년, 추징금 8억8302만원 선고 |
2011-10-31 | 한명숙 1심(서울중앙지법 2010고합1046 제22부형사 김우진 부장판사), 무죄 선고 |
2010-07-20 | 검찰, 한명숙 전 총리 불구속 기소(정치자금법 위반) |
2009-12-22 | 검찰, 한명숙 전 총리 불구속 기소(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뇌물수수 혐의) 2013년 3심 무죄확정(1, 2심 무죄) |
피의자/피고발인 | 재판일 | 내용 |
※ 이 사건과 관련된 언론 기사와 참고사항입니다.
참여연대 | [논평] 검찰총장의 재배당 지시는 감찰의 독립성 훼손 |
참여연대 | [논평] 검사가 교사했다는 모해위증 의혹, 결국 또 ‘무혐의’인가 |
참여연대 | [논평] 검찰 과오 확인한 감찰 결과, 발본적 대책으로 나아가야 |